728x90
필사(p222)
엄마의 욕망의 대상이 되고 싶다는 욕망, 이는 엄마의 욕망의 대상으로 인정받고 싶다는 욕망이다. 엄마는 자기 딸이 딸기를 맛있게 먹는 것을 보고 싶어 하고, 아이는 그 욕망대로 '딸기를 맛있게 먹는 딸'이 되고자 딸기를 열심히 먹는 것이다. 딸기를 맛있게 먹기를 바라는 엄마의 욕망을 욕망하는 것이다.'이런 말을 했더니 엄마가 좋아하더라' '엄마가 말하는대로 했더니 좋아하더라' '공부를 열심히 했더니 엄마가 아주 좋아하네'... 이런 걸로 시작하지만, 나중에는 '엄마는 내가 좋은 대학 들어가면 아주 좋아할 거야' '엄마는 내가 대기업에 취직하길 원하고 있어' 등등으로 이어질 것이다. 엄마의 욕망의 대상으로 인정받는 게 내 욕망인, 이런 욕망은 쉽게 내 욕망으로 '오인'된다. 이제 저 욕망의 언사들은 '나는 좋은 대학 가고 싶어' '나는 대기업에 취직하고 싶어'로 슬쩍 바뀌게 된다 뒤집어 말하면 내가 '나의 욕망'이라고 생각한 것은 필경 엄마의 욕망이다. 엄마의 인정을 얻으려는 욕망이 만들어낸 욕망이다. 그 엄마의 욕망을 나의 욕망이라고 동일시하고 오인하는 것이다.
단상
인정 욕구가 없는 사람이 있을까? 나도 좋은 엄마, 좋은 아내, 좋은 딸, 좋은 며느리로 인정받기를 원한다. 그런데 내가 노력한 만큼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낄 때 그 서운함은 이루 말할 수 없다. 나를 힘들게 한다.
언제부턴가 채울 수 없는 욕심으로 여기고 내려놓으려고 하는데 아직 내 마음 한구석에 남아 있다.
728x90
반응형
'책과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생 4학년 과학책 추천 (0) | 2021.01.16 |
---|---|
초등4학년 추천도서 재미있게 읽은책 (0) | 2021.01.15 |
삶을 위한 철학수업/이진경_p168 (0) | 2021.01.04 |
삶을 위한 철학수업/이진경_ p161 (0) | 2021.01.03 |
삶을 위한 철학수업 / 이진경_ p151-152 (0) | 2021.01.03 |